본문 바로가기

신문스크랩

2020년 4월 18일

반응형

일본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한국 추월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 크루즈 탑승자를 제외하고도 일본 내 코로나 확진자는 1만 98명으로 한국 추월.

 

-> 한국이 다른 나라에 비해 빨리 코로나가 퍼졌을 뿐이지 대처는 아주 잘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이 먼저 코로나19 상황에 닥쳤을 때, 다른 나라들이 우리를 얼마나 무시?했는지..ㅜㅜ 베트남 같은 경우엔 날라오고 있는 항공기를 오지 말라고 하고,,, 무튼 베트남 입장에서도 우리가 잠재적 바이러스 보균자라고 생각하여 자국민의 안전을 우선시한다고는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역전되어 우리는 코로나19를 컨트롤 할 수 있는 상태라고 생각하고 다른 나라의 지원 요청을 받아들이는 중!

 

 

주유소 휘발유 가격 12주째 하락,,, 두바이유 20달러 선도 위험

 

휘발유 가격은 리터 당 1300원대 정도

 

두바이유는 한국으로 수출하는 원유 가격의 기준 - 배럴 당 20.8달러

코로나가 터지기 전 1월에만 해도 배럴 당 64.3달러 정도였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해 수요도 감소했고, 러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 간 갈등으로 인해 점점 가격이 하락하는 중.

 

->미국에서 수업 들을 때 Mr.B교수님이 항상 빅샷 파일 업데이트 잘 하라고 해서 원유 가격을 체크했었다..

3월엔 거의 뭐 50달러에서 30달러 정도로 하락하는 중이었다.

계속 떨어지고 있었군

 

 

라임사태

 

라임사태 : 라임자산운용의 1조 600억원대 펀드 환매(투자금 환급) 중단 사태. 게다가 폰지사기, 수익률 조작, 불완전판매 등의 불법 행위에 연루되었다는 의혹이 확대된 사건.

-환매 중단? 투자자가 투자한 자산을 회수하고자 함에도 자산운용사가 투자자들에게 돌려줄 돈을 마련하지 못해 투자금을 되돌려주지 못하는 것.

 

라임자산운용: 2015년 말부터 영업을 시작하여 단기간 내 헤지펀드 업계 1위로 급성장한 자산운용사.

 

->라임자산운용에서 굴리는 펀드는 사모펀드가 다수를 차지하는데, 은행 업계 중에선 우리은행이 가장 많이 팔았다고 한다. 나는 펀드에 펀 자도 잘 모르는 사람으로서, 은행에 이렇게 위험률이 높은 상품을 파는 게 놀라웠다. 정말 세상은 아는 만큼 보이는 듯 하다. 뭐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이지만,,, 

 

아직까진 원금 손실이 날지 안날지는 모르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지켜보고 있는 중이다.

 

나도 뉴스만 읽고 글이 이해가 안돼서 밑에 용어 정리도 하고 유튜브에 한 방에 정리해 주는 동영상도 두 편 봤다.

유튜브를 보니까 어느 정도 이해는 가는데, 이제 라임 사태에 대해 어떤 방향으로 수사가 흘러가는지 뉴스를 잘 살펴봐야 겠다.

 

 

사모펀드(Private Equity Fund) : 소수의 투자자(49명 이하)로부터 모은 자금을 운용하는 펀드로, 비공개로 투자자들을 모집하여 자산가치가 저평가된 기업에 자본참여를 하게 하여 기업가치를 높인 다음 기업 주식을 되파는 전략을 취한다. 사모펀드는 금융기관이 관리하는 일반 펀드와는 달리 사인 간 계약의 형태를 띠고 있어 금융감독기관의 감시를 받지 않으며, 공모펀드와는 달리 운용에 제한이 없는 만큼 자유로운 운용이 가능하다.

 

공모펀드(Public Offering Fund) : 50인 이상의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를 대상으로 자금을 모으고 그 자금을 운영하는 펀드.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판매하기 때문에, 운용에 제한이 없는 사모펀드와 달리 투자자 모집이나 펀드 운용에 대한 규제가 비교적 엄격하다.

 

총수익스와프(TRS: Total Return Swap) : 주식 매입자는 매각자와 투자로 인한 수익 및 위험을 나눠 갖고, 매각자는 고정된 이자 수입을 얻는 파생거래. 보통 매입자가 주가 하락으로 인한 손실을 매각자로부터 보전받는 대신에 매각자는 주가가 오르면서 발생한 이익을 얻게 되는 구조.

 

모자형 펀드 : 다수의 자펀드를 통해 자금을 모집하고, 이렇게 모인 자금을 모펀드에 투자하는 구조. 때문에 모펀드에서 손실이 발생하면 자펀드에 투자를 한 투자자들도 손실을 입게 된다. 또 모펀드에서 유동성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자펀드에도 영향을 미쳐 환매가 어려워진다.

 

폰지사기( Ponzi Scheme) : 실제 자본금은 들이지 않고 고수익을 미끼로 투자자들을 끌어모은 다음 나중에 투자하는 사람의 원금을 받아 앞 사람의 수익금을 지급하는 방식의 사기 수법. 폰즈라는 사람의 이름을 따옴.

 

불완전판매 : 판매자(금융회사)가 펀드를 비롯한 금융 상품의 기본 구조, 자금 운용, 원금 손실 여부 등 주요 내용에 대해 고객에게 충분히 설명하지 않고 이를 판매한 경우. 한국에선 키코(KIKO) 논란 이후로 도입.

반응형

'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4월 22일  (0) 2020.04.22
2020/04/21  (0) 2020.04.21
2020년 4월 20일  (0) 2020.04.20
2020/04/19  (0) 2020.04.20
2020년 4월 17일  (0) 2020.04.18